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ursera
- self join
- 자료구조
- udemy
- 최소공배수
- 시퀄
- 과제
- BFS
- Advanced SQL
- BST
- postgresql
- 데이터베이스
- 유데미
- timestamp
- AVLTree
- 개발
- COALESCE
- sql
- Andrew Ng
- CREATE TABLE
- 백준
- 알고리즘
- 깊이우선탐색
- Machine Learning
- pgadmin
- nullif
- C++
- ML
- 최대공약수
- 너비우선탐색
- Today
- Total
목록postgresql (3)
승1's B(log n)
1) CASE 문 CASE 문이란 흔히 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IF/ELSE로 사용되는 조건문이다. 즉, 특정 조건을 충족했을 때 실행하도록 하는 구문이라고 볼 수 있다. CASE문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는 general CASE 방식, 두번째는 CASE expression 형태이다. 두 가지의 차이점에 대해서 차근차근 알아보자. (1) general CASE 먼저, general CASE 방식이다. 수도코드를 살펴보자. CASE WHEN condition1 THEN result1 WHEN condition2 THEN result2 ELSE some_other_result END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들어 보겠다. 테이블에 x라는 이름을 가진 열이 있는데, 값으로 1, 2, 3..
그동안 이미 만들어진 SQL 테이블을 사용하는 법에 대해서 배웠다면 이젠 직접 테이블을 만들고 그 안에 데이터들을 집어 넣는 과정을 배워보도록 하자. 1) 데이터 자료형 복습 먼저 데이터 종류에 대해서 잠깐 복습해 볼 필요가 있다. 데이터 종류에는 숫자형, 문자형, 부울형 등등이 존재하는데, 각각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한 자료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해야 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어떤 자료형으로 저장해야 할까? 흔히 생각했을 때는 전화번호는 숫자로 이루어져있으니 숫자형으로 저장해야 되지 않나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전화번호로 덧셈이나 뺄셈 등 사칙연산을 적용하는 일이 극히 드물기 때문에, 굳이 정수형으로 저장할 필요가 없이 문자형으로 저장하는 것이 더 편할..
저번 포스팅에서는 SQL의 기초 문법을 배웠다면 이번에는 조금 더 심화된 구문들을 배워보고자 한다. 바로 GROUP BY문과 JOIN문이다. GROUP BY문을 다루기 전에, 집계 함수들에 대해서 먼저 배워보자. 1) 집계함수 (1) AVG(column) : 선택한 열의 평균값을 구해주는 함수 / 소수점 이하의 수를 간편히 나타내고 싶다면 ROUND()함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ex) ROUND(AVG(column), n) -> 평균값을 소수점 이하 n자리 수까지 구함.(n+1 자리수에서 반올림) (2) COUNT(column) : 선택한 열의 행의 개수를 구해주는 함수 (3) MAX(column) : 선택한 열의 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구해주는 함수 (4) MIN(column) : 선택한 열의 값..